목록font (2)
날아라쩡글이의 블로그입니다.
float나머지 요소는 항상 수직으로 쌓이려고한다. float의 경우 수평정렬로 만들어지며, float:right 는 우측부터 3, 2, 1의 형태로 배열되고, float:left의 경우 좌측부터 1, 2, 3의 형태로 쌓이게 된다. 해제의 경우 clear를 입력하고 left는 left로 right는 right로 작성하여 해제한다. 그러나 구별하기 어렵거나, 유지보수의 문제로 clear:both를 사용한다. 해제를 하지않고 작성시에 요소는 중복되어 사용된다. float의 속성이 적용된 요소의 주위로 다른요소들이 흐르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속성을 '해제;해야한다. 해제의 방법은 다음형제 요소에 clear:left,right,both를 추가한다. 부모요소에 overflow:hidden,auto를 추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XJqn/btq7UPjtp9E/iBEz1wyZeu7EbvdWHRpSi1/img.png)
reset : css를 초기화해주는 문법이다. 다양한 브라우저의 경우 style이 다르게 출력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스타일을 만들기 위하여 초기화하고 작성을 해야한다. 일일히 margin:0; padding:0;으로 설정해주기보단 기존의 style을 초기화해주는 것이 좋은데, reset MDN을 검색해서 reset.min.css의 압출파일 경로를 Visual studio code에 입력시 main.css를 연결하는 link보다 위쪽에 입력하여 모두 reset이 되도록 설정해준다. codepan에서도 적용 가능한데, css좌측에 톱니바퀴에 설정을 해준다 emmet문법 = tab키를 이용하여 바로바로 작성이 되도록 설정해준다. 감싸는 방법도 가능하며, 복잡한 문서를 손쉽게 입력가능하다. emmet plug i..